ESG 진단 컨설팅

ESG 경영관리 플랫폼은 지표/분류체계 범용성, 진단 객관성,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특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 시장성을 확대 시킵니다.

지표/분류체계 범용성

영향력이 높은 ESG 평가기관의 기준과 지표를 분석 및 조회 할 수 있고, 국내외 대표 산업 분류(MSCI, 통계청, SASB)를 총 망라한 자체 산업분류를 확보하고 있어 지표/분류체계의 범용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공시기관은 GRI, IBC, WFE, K-ESG, 평가기관은 MSCI, DJSI, KCGS를 참고 하였습니다. 산업 분류는 69개(세부산업 기준으로는 163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Frameworks

지표 범용성 증대를 위해 글로벌 주요 관련기관의 지표를 산업별, 정성/정량별, 관리수준별로 분류합니다.

산업 특성 반영

선정된 ESG 지표는 19개 대분류, 44개 중분류(산업 공통 21개 / 산업 특화 23개), 329개 세부지표로 구성됩니다.

공통지표
특화지표
산업 특성 반영 테입블
영역 대분류 중분류
환경 환경경영 환경경영관리 원자재 관리
친환경기회 원자재 관리 친환경 건축의 기회 친환경 건축의 기회 친환경 건축의 기회 친환경 건축의 기회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배출 에너지 소비
대기오염 저감 대기오염물질
수자원 보호 용수 소비 수질오염물질
폐기물 폐기물 전자 폐기물 포장 재료 및 폐기물
생태계 보존 생물다양성/토지이용
사회 구성원 인권 다양성 및 포용성 인적 자본 보건안전
협력사 공급망 관리 분쟁 광물 관리
제품/고객 제품 품질 및 안전 제품 내화학물질 소미자 금융 보호
접근성-통신 산업 접근성-금융 산업 접근성-헬스케어 산업 책임투자 영양과 건강
지역사회 지역사회 지원 및 사회공헌
지배구조 정보보안 정보보안
이사회 이사회 구성 이사회 운영 이사보수
감사 내부 감사기구
주주 주주 권리보호 주주 권리보호
윤리경영 용수 소비
투명성 정보공시
이해관계자 관리 이해관계자 소통
외부 이니셔티브 이니셔티브참여

* 환경 공급망 세부지표 4개(유해물질, 오염방지 및 자원절감), 사회 공급망 세부지표 11개(아동/강제 노동), 지배구조 공급망 세부지표(관리시스템) 8개가 포함된 수치

진단 객관성

당사의 ESG 진단체계는 Peer Group 데이터에 기반한 평가 Logic을 갖고 있습니다.
외부 전문기관 데이터 활용(주기적 업데이트)으로 신뢰성을 확보 했고, 국내 경영 환경과 기업 실정을 반영한 지표와 데이터 사용으로 객관성을 증대 시켰습니다. 또한, ESG 투자자 신뢰도가 높은 MSCI 평가를 진단체계 Logic에 연동 시켜 사전진단 기능을 제공합니다. MSCI와의 차이점은 MSCI 대비 많은 평가항목(산업공통, 국내 특성 지표 등)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보수적으로 산출되는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Frameworks

지표 유형별 평가척도를 설정하고, 중분류와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합니다.

외부 전문 기관 데이터 사용

ESG 경영관리 플랫폼은 7개의 주요 평가/공시 기관의 항목을 참고로 하여 진단 결과가 다소 보수적으로 나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개선 필요성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당사의 ESG 진단 서비스는 타 기관 대비 평가 항목의 숫자가 많고 ESG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포괄적으로 담아 냄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합니다.

산업 특성 반영 테입블
영역 ESG진단서비스 평가기관 공시기간
M K D GRI WFE IBC K-ESG
환경 환경경영관리
원자재관리
온실가스 배출
에너지 소비
제품 탄소 발자국
대기오염물질
용수 소비
수질오염물질
폐기물
생물다양성 및 토지 이용
사회 인권
다양성 및 포용성
인적 자본
보건안전
공급망 관리
제품 품질 및 안전
영양과 건강의 기회
지역사회 및 사회공헌
정보보안
개수 19 7 14 12 16 8 8 10

* 예시 자료 (Food Retail 산업의 타기관과의 평가 영역 비교)

서비스 절차

자가 진단부터 진단, 결과 Report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자가진단은 진단 문항 별 답변하는 방식, 파일로 일괄 등록하는 방식, 이전 진단 버전을 불러오는 방식 등 플랫폼을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을 제공합니다.  특히, 도출된 개선과제는 목표 수준, 담당자를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할 수 있어서, 단기간 ESG 수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경영관리 Tool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진단 결과에 따라, 보다 심화 컨설팅을 진행할 수도 있는데, 플랫폼에 등록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컨설팅이 가능합니다.
시뮬레이션 및 리포팅 기능 이미지 1 시뮬레이션 및 리포팅 기능 이미지 1
시뮬레이션 및 리포팅 기능 이미지 2 시뮬레이션 및 리포팅 기능 이미지 2